본문 바로가기

스프링

(12)
검증1 - Validation 인프런 김영한님의 스프링 mvc2편을 보고 정리한 글입니다. 무엇을 배웠나요? 검증을 직접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웠다. 컨트롤러의 중요한 역할중 하나는 HTTP 요청이 정상인지 검증하는 것이다. 클라이언트 검증은 조작할 수 있으므로 보안에 취약하다. 서버만으로 검증하면, 즉각적인 고객 사용성이 부족해진다. 둘을 적절히 섞어서 사용하되, 최정적으로 서버 검증은 필수 API 방식을 사용하면 API스팩을 잘 정의해서 검증 오류를 aPI응답 결과에 잘 남겨주어야 함 검증에는 클라이언트 검증과 서버 검증이 있다. 정상로직과 실패 로직 만약 검증시 오류가 발생하면 어떤 검증에서 오류가 발생했는지 정보를 담아주어야 한다.→ 검증시 오류가 발생하면 errors 에 담아둔다. 이때 어떤 필드에서 오류가 발생했는지 구..
[spring] SOLID 원칙 최근 스프링을 공부하면서 SOLID 원칙(객체지향 5대원칙)이라는 단어를 들어보았다. 강의에서 말하는 내용을 듣기만 해서는 이해가 쉽게 가지않고 잊어버리지 않게 위해서 다시 정리하면서 포스팅을 할려고 한다. 객체지향 5대 원칙(SOLID원칙)이란 SRP(단일 책임 원칙), OCP(개방-폐쇄 원칙), LSP(리스코프 치환 원칙), DIP(의존 역전 원칙), ISP(인터페이스 분리 원칙)을 말하며, 앞자를 따서 SOILD 원칙이라고 부른다. 프로그래머가 시간이 지나도 유지 보수와 확장이 쉬운 소프트웨어를 만드는데 이 원칙들을 적용할 수 있다. 1.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단일 책임 원칙), SRP "소프트웨어의 설계 부품(클래스, 함수 등)은 단 하나의 책임만을 가져야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