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블에 대한 정보가 나온다 이때 desc는 description의 약어다.
왼쪽) insert 하는 쿼리 오른쪽) 결과
- dual테이블은
- 오라클 자체에서 제공되는 테이블
- 간단하게 함수를 이용해서 계산 결과값을 확인 할 때 사용하는 테이블
- 오직 하나의 행, 하나의 column을 담고있는 dummy 테이블
- count(column명) 사용법
- order by column asc | desc 사용하기 (default값은 asc이다.)
왼쪽) asc, 즉 오른차순으로 정렬 오른쪽) 내림차순으로 정렬
- SQL에서는 엘리야스, to_char구문한에서 사용자 형식내 문자열을 포함할때만 “”(큰 따옴표)를 사용해야 한다 → 다음과 같은 상황이 아니고서는 전부 ‘(작은 따옴표)를 사용해야 한다.
- 오라클에서는 number 형식의 column에서는 앞자리수가 0인경우 저장이 안된다.
- 오라클에서 uninion all은 각 쿼리의 모든 결과를 포함한 합집합이다.
- 오라클에서 commit은 데이터베이스에 insert, update, delete문을 가했을경우 commit을 해주어야 한다. 그 외의 select문같이 조회를 하는 경우에는 commit를 하지 않아도 된다.